여름철 온열질환, 그냥 넘기면 큰일 납니다
한여름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7월은 체온 조절이 어려워지면서 건강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습니다. 특히 강한 햇볕 아래에서 야외 활동을 장시간 이어가면 일사병, 열사병 같은 온열질환에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피로가 아니라 중대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을 정확히 알고, 초기 대응 방법을 미리 숙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상생활 중 갑작스럽게 어지럽거나 두통이 생기는 경험은 단순한 더위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단순한 불쾌감으로 넘겼다가 자칫 의식을 잃는 응급상황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예방하고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여름철 자주 발생하는 대표적인 온열질환의 증상과 그에 따른 대처법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일사병 증상과 초기 대처법
의식은 정상인데 몸이 축 처지고 두통이 생기면
일사병은 강한 햇볕 아래에서 과도한 활동을 하거나,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지 못할 때 흔히 발생합니다. 체온은 37도에서 40도 사이로 올라가며, 심한 피로감, 두통, 오한, 복통 등 다양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몸은 기운이 빠지고, 식은땀이 나기도 하며, 약간의 어지럼증이나 메스꺼움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즉시 그늘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하는 것입니다. 시원한 물을 조금씩 마시면서 체온을 천천히 낮추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꽉 끼는 옷은 벗고, 통풍이 잘 되는 복장을 착용하여 체온을 자연스럽게 내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열사병 증상은 응급상황으로 인식해야
체온이 40도 이상, 땀이 멈추고 의식 저하까지
열사병은 일사병보다 한 단계 더 심각한 상태로, 신체의 체온 조절 기능이 완전히 무너지며 발생합니다.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땀이 멈추고 피부가 뜨겁고 건조해집니다. 의식이 혼미해지거나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생명에도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주저하지 말고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환자를 시원한 그늘로 옮기고, 젖은 수건이나 얼음 팩으로 몸을 식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능하다면 선풍기나 에어컨을 활용해 외부 열을 식혀주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의식이 없는 경우 절대로 물을 억지로 마시게 해서는 안 됩니다.
열실신은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가 원인
갑자기 일어섰을 때 어지럼증이 생긴다면
열실신은 뇌로 가는 혈류가 일시적으로 줄어들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고온 환경에서 장시간 서 있다가 갑자기 자세를 바꾸거나 일어설 때 어지럼증이나 실신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체온을 조절하려는 신체 반응으로 혈류가 피부 쪽으로 몰리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그늘에 눕혀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줍니다. 이는 뇌로 가는 혈류를 증가시켜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기력이 회복될 때까지 무리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열경련은 수분과 전해질 부족이 원인
운동 중 혹은 직후에 근육이 뭉치고 아프다면
격렬한 운동이나 노동을 하며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면 체내 수분과 전해질이 빠르게 소모되면서 근육 경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열경련은 주로 종아리, 허벅지, 어깨 등 사용이 많은 부위에서 발생하며, 근육이 뭉치면서 통증을 동반합니다.
이런 경우 즉시 활동을 멈추고, 시원한 장소에서 충분한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생리식염수 또는 이온음료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경련이 생긴 부위는 부드럽게 마사지해주고, 증상이 완전히 가라앉을 때까지 충분히 휴식해야 합니다.
열발진(땀띠)은 피부 위생 관리가 중요
붉은 발진이나 작은 물집이 생긴다면
열발진은 땀구멍이 막혀 땀이 빠져나가지 못하면서 생기는 피부 질환입니다. 보통 목, 가슴, 사타구니, 팔과 다리 안쪽처럼 땀이 자주 차는 부위에 발생합니다. 작은 붉은 발진이나 투명한 물집이 생기며, 가려움증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해당 부위를 시원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면 소재의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입고, 땀이 많이 나는 부위는 자주 닦아내 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필요시에는 땀띠용 파우더나 연고를 사용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생활 수칙
사전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여름철 온열질환은 대부분 미리 준비하고 주의하면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수칙을 생활 속에서 실천하면 온열질환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가장 더운 시간대(오후 12시~5시)에는 외출을 자제합니다.
- 수분은 갈증을 느끼기 전 미리미리 섭취합니다.
-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보다, 자주 조금씩 마시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통풍이 잘 되는 시원한 옷을 입고, 외출 시에는 모자나 양산을 사용합니다.
- 에어컨 사용 시에도 지나친 냉방은 피하고 적절한 온도(26~28도)를 유지합니다.
- 고령자나 만성질환자는 더위에 더욱 민감하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열이 많은 실내에서는 일정 시간마다 환기를 통해 열기를 빼줍니다.
마무리
여름철은 무더위로 인한 온열질환이 증가하는 시기입니다. 일사병이나 열사병은 단순히 피곤함으로 생각하고 지나칠 수 있으나, 방치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상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 자주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을 정확히 인지하고,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무더운 여름을 안전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쉬는 습관, 충분한 수분 섭취, 더위를 피하는 행동 등이 건강한 여름을 보내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치매보험, 지금 준비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고령화 사회 속 늘어나는 치매 위험우리 사회는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습니다. 중장년층 인구가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만성질환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치매는 많은 사람
health.onedayinfo.com
초당옥수수 효능과 제대로 먹는 법
여름철 대표 간식으로 자주 언급되는 초당옥수수는 단순한 간식 그 이상입니다. 일반 옥수수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당도가 높고, 생으로도 섭취가 가능할 만큼 식감이 부드럽고 풍부한 수
health.onedayinfo.com